일상 속 미세 플라스틱을 찾아서.
너무 늦었죠?
죄송합니다
잊지 말아주세요...

오늘의 주제는 미세 플라스틱입니다.
미세 플라스틱은 환경뿐만 아니라 건강을 위협하는 물질인데요.
그렇기에 이번 글에서는 실생활에서 쉽게 마주할 수 있는 미세플라스틱 유발 제품을 알아보겠습니다.
사실 지금도 우리가 알게모르게 일상생활에서 흔히 사용한 플라스틱이 자잘하게 쪼개진 채로 식탁에 오르고 있습니다. 물론 미세플라스틱 얘기입니다.
나름 건강하게 먹고 있었다고 생각했는데 미세 플라스틱이 쪼개져서 올라온다는 사실은 충격적인 일일 수 밖에 없는데요.
이렇게 체내로 들어온 미세 플라스틱은 위암을 악화시키고, 자폐스펙트럼 장애 등 각종 질환 발병 위험을 높인다고 합니다.
실제로 한국원자력의학원 김진수 박사님 연구팀은 최근 체내에 흡수된 미세플라스틱이 암세포 성장과 전이를 가속화하고, 면역억제 단백질 증가와 항암제 내성을 일으켜 위암을 악화할 수 있다는 것을 세계 최초로 규명하셨다고 합니다.
대단해요!

박사님의 연구팀은 미세플라스틱 섭취가 자폐스펙트럼 장애 유발 위험을 높인다는 것도 세계 최초로 규명하셨는데요.
미세플라스틱의 ▲면역반응 유발 ▲세포막에 악영향 ▲세포막 통과 ▲산화스트레스 유발 등 독성 작용이 인체 건강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고 합니다.
그것을 모르고 사람들은 의도치 않게 6개월마다 1개의 시리얼 그릇(125g)을 채울 만큼의 플라스틱을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결과 밝혀졌다고 해요.
무서운 일이네요...

지난 3월 인간의 혈액에서 처음으로 미세플라스틱이 발견되었다고 하는데요.
인간의 뇌, 장, 태아의 태반, 대변 등에서 발견된 바 있지만, 혈액에서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합니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브리예 대학 연구팀이 건강한 성인 22명의 혈액 샘플을 채취해 조사한 결과, 실험 참가자 50%의 혈액 샘플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가 포함되었다고 알려져있네요.
PET는 투명하면서도 강한 플라스틱으로 식품, 음료, 특히 청량음료나 주스, 물 포장에 널리 사용되는 누구나 다 아시고 쓰시는 플라스틱이죠.

레이온, 폴리에스테르 등 합성섬유를 압축해 만든 부직포이며. 재활용도 안 됩니다. 일반 쓰레기로 버려야 합니다.
간혹 귀찮다고 변기에 버리시는 사람이 있는데, 물티슈는 물에 녹지 않기 때문에 하수도를 막아 큰 피해를 주고 있습니다.
천연펄프로 만든 비데용 티슈도 물에 완전히 풀어지지는 않는데요.
그렇기에 환경을 위한 일회용 물티슈 대체품을 쓴다면 손수건, 행주, 걸레 등을 사용하시는 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식당에서도 일회용 물티슈를 받지 않는 작은 실천을 하시면 더더욱 좋겠네요.
종이컵에 물을 마시는 건 미세 플라스틱을 그대로 섭취하는 것이나 마찬가지라고 합니다.
실제로 종이컵에 담은 85~90도 온수 100mL에 약 2만 5000개의 미세플라스틱이 들어 있다는 인도 연구팀의 연구 결과가 나오기도 했습니다.
종이컵에 담은 믹스커피도 이걸 알고나면 함부로 못 마실거 같네요 ;;;
피부의 건강도 중요하지만 보통 시트에 비닐이나 플라스틱 필름도 붙어 있으므로 환경을 생각한다면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겠지만... 피부는 중요하기에 고민되는군요. ㅠ_ㅠ

최근 캐나다에서 삼각형 티백을 95도 물에 5분간 넣었을 때 검출되는 미세플라스틱양을 측정했는데요.
그 결과, 무려 116억 개의 미세플라스틱이 확인됐다고 합니다.
흔히 사용하는 종이 티백도 플라스틱을 코팅한 폴리프로필렌 코팅 종이제인 경우가 많아 주의하셔야 합니다.
병에 들어있는 차를 애용하게 될것 같네요.
오늘도 알아도 그만 몰라도 그만인 지식을 알아보았는데요.
어떠셨나요?
조금은 유익했기를 바라며 이번 글을 마치겠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보네세요. ^^